재테크

사회초년생들에게 추천하는 5가지 재테크! 이것만 하면 된다!(2부)

주나이 2023. 2. 1. 09:45
728x90
반응형
SMALL
728x90

안녕하세요! 주나이에요~!

어제는 재태크 5가지 중

2가지 비상금과 주택청약 

그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다른 3가지를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 연말정산

처음 재테크 하는데 연말정산을 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연말정산을 하기 위해서는 세금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한데...

사회 초년생인 만큼 대부분 세금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할 수 밖에 없습니다.

 

지금 당장 처음한다하시면 카드만

체크해놓으세요!!

기준이 여기에도 있는데요!

 

연봉의25%를 소비한다 라고하시면

체크카드를 사용하시고

연봉의 25%보다 적게 쓸 경우 

신용카드를 쓰시면 좋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여러분들이 질문할 수 있는게 

이러한 세금에 대한 혜택으로 소득공제나 

세액공제 이런혜택을 위해서 어떠한 보험상품을

가입하는 것은 앞뒤가 안맞는 것이기에 안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러한 상품들이 국가에서 지원해주기 때문에 

재테크 효율은 좋으나 처음하는데는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입하실 필요가 없어요.

 

4. 보험은 실손의료 보험들만 가입.

우리나라가 국가보험이 이렇게 설명해보죠

저희가 원래 준비해야하는 보험이 100이라고 치면

저희 부모님 세대때는 국가에서 30~40을 해주고 있었는데

현재는 60~70정도를 채워주고 있다고 합니다.

그만큼 국가보험의 점점 확대되고 있는데요.

 

보험을 많이 준비하신다는 것은 

저희가 옛날 버전으로 준비하는 것 과 같습니다.

처음시작하실 때는

실손의료 보험정도만 하시면 됩니다.

 

나중에 경쟁력이 생기시면 다른 보험을 추가로 들이시는게 

좋습니다.

 

5. 내 집 마련 목돈 만들기

2019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남자 결혼연령은 평균33세

여자는 30세라고 합니다.

남자의 취업나이는 평균 27세

여자는 25세 라고하는데요.

 

아마 5년 사이에 이러한 자료는 많이 바뀌어서 

결혼 평균연령도 많이 증가하고 취업나이도 많이 

증가했을 거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하지만 취업해서 결혼할 때 사이의 시간은 더

늘었다고 판단이 됩니다.

 

그러면 취업 후 최소 5~6년 후에 결혼을 하는 건데

내 집 마련을 위해서 쓰는 돈은 얼마냐

전세, 주택구입 이런 것들을 통틀어서

한 1억원 정도면 좋다라는 자료가 있다고 하는데요

출처는 2018년 보건사회 연구원 자료에 있다고 합니다. 

 

계산식을 세워보면 매달 100~150씩 5~6년동안 5~10%수익률을

받으면 1억이라는 돈이 완성이되고 내집마련 결혼 자금이 완성이 됩니다.

 

이렇게 5가지를 알아봤는데요!

처음에는 기본적인 이것만 챙기시고 점점 배워가면서 

1개씩 차근차근 더 알아가 보는 걸로해요~

제가 글을 유튜버 머니하이님의 

영상을 참고해서 만들었는데요!

혹시 더 자세히 설명을 듣고 알고 싶으시다면 

영상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오늘하루도 좋은 하루 되세요~

728x90
반응형
LIST